본문 바로가기
곤충이야기

잎위에 남생이??

by Clover+_+ 2025. 6. 17.
728x90
반응형

🐛 지금 숲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곤충들

  • 나비: 남방부전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 제비나비 등
  • 벌목 곤충: 벌, 말벌, 땅벌도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어요.
  • 딱정벌레: 하늘소, 풍뎅이 종류
  • 나방과 그 애벌레: 일명 송충이라 불리는 애벌레들이 이 시기에 특히 많이 관찰됩니다.

 

  • 송충이, 조심해서 관찰하세요
    털이 무성한 송충이는 대부분 자기 보호를 위한 독성 털을 가지고 있어요.
    피부에 닿으면 발진, 가려움, 심할 땐 알레르기 반응도 유발할 수 있으니 다음과 같이 안내해 주세요.
    “털 많은 송충이는 절대 만지지 마세요!
    멀리서 눈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찍어 동정을 시도해 보세요.”

오늘의 발견: 큰남생이잎벌레

오늘 숲길을 걷다 나뭇잎을 스치는 순간,
마치 작은 방패처럼 넓적하고 반짝이는 딱지를 가진 곤충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바로 큰남생이잎벌레입니다.

 

🪲 큰남생이잎벌레 분류 체계

분류 단계 한글명 학명
계(Kingdom) 동물계 Animalia
문(Phylum) 절지동물문 Arthropoda
아문(Subphylum) 육각아문 Hexapoda
강(Class) 곤충강 Insecta
목(Order) 딱정벌레목 Coleoptera
아목(Suborder) 풍뎅이아목 Polyphaga
하목(Infraorder) 머리대장하목 Cucujiformia
상과(Superfamily) 잎벌레상과 Chrysomeloidea
과(Family) 잎벌레과 Chrysomelidae
아과(Subfamily) 남생이잎벌레아과 Cassidinae
족(Tribe) Cassidini족 Cassidini
속(Genus) 큰남생이잎벌레속 Thlaspida
종(Species) 큰남생이잎벌레 Thlaspida biramosa

 

참고 포인트

  • 남생이잎벌레”라는 이름은 거북이처럼 납작하고 단단한 외형에서 유래하였습니다.
  • 잎을 갉아먹지만, 생태계 다양성의 한 부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큰남생이잎벌레 (Thlaspida biramosa) 형태 및 생태 정보

항 목 내 용
몸길이 약 8.2mm
머리 폭 약 1.3mm
몸 색 적갈색
몸 형태 납작하고 긴 타원형
돌기 구조 16쌍의 측면돌기 + 1쌍의 항문 돌기
돌기 특징 가시 모양의 강모로 덮여 있음
기문·몸 측면 흑갈색
머리 형태 하구식, 둥글고 갈색, 중앙에 미세 강모 분포
이마 9쌍의 강모 존재
홑눈 (ocelli) 양쪽에 5개씩 (총 10개)
더듬이 2마디로 구성
이마방패 부등변 사변형, 1쌍의 강모 있음
윗입술 앞 가장자리가 약간 들어가 있음, 2쌍의 강모
큰턱 (대악) 손바닥 모양, 6개의 이빨 + 1개의 강모
앞가슴등판 4쌍의 측면돌기 존재
가운뎃가슴 기문 융기되어 있음
다리 형태 짧고 굵음
넓적다리마디 10개의 강모 있음
배마디 각 마디에 1쌍의 측면돌기 존재
항문 돌기 길고 가늘며, 강모로 덮여 있음
기주식물 작살나무, 새비나무 등
분포 지역 한국(경북, 경남), 일본, 대만, 중국(하이난 포함), 인도차이나, 미얀마, 인도 등

 

 

  • "강모"는 곤충의 센서 역할을 하는 털로, 촉각과 방어에 도움을 줍니다.
  • 작살나무, 새비나무(갈매나무과의 낙엽관목)를 기주로 삼아, 이 나무들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큰남생이잎벌레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납작한 체형과 돌기로 인해 천적의 눈을 피하는 위장형 곤충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