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이야기

매화나무? 매실나무?

by Clover+_+ 2025. 3. 9.
반응형

자연愛.쉼 ☘️입니다.

자연 속에서 작은 관심을 기울이면, 그 안에서 숨 쉬는 생명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깊이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봄의 전령사로 불리는 매화나무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흔히 '매화' 또는 '매화나무'라고 부르나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정식명칭은 '매실나무'이다.

그래서 저는 매실나무로 표기하겠습니다. ^^

🌳 매실나무 기본 정보

항 목 정 보
학 명 Prunus mume
식물계 (Plantae)
속씨식물문 (Angiosperms)
쌍떡잎식물강 (Eudicots)
장미목 (Rosales)
장미과 (Rosaceae)
벚나무속 (Prunus)
매실나무 (P. mume)

🌿 매실나무의 특징

  • 줄기 : 나무껍질이 갈색을 띠며 세로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음
  • : 2~3월 사이 개화, 흰색 또는 분홍색의 향기로운 꽃이 핌
  • 열매 : 매실로 불리는 둥근 열매, 여름철 수확 가능
  • 뿌리 : 깊이 뻗어 단단한 토양에서도 잘 생장함
  • 최대 성장 : 약 4~10m까지 자람
  • 구분 : 교목 (큰 나무)

🌸 매실나무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

    1. 조선 시대 선비들의 사랑을 받은 나무
      • 매실나무는 옛 문인과 선비들이 가장 사랑한 꽃 중 하나로, '사군자' 중 하나입니다.
      • 추운 겨울이 끝나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특성 때문에 ‘고고한 선비의 기상’을 상징합니다.
    2. 매실나무와 매실, 혼동하기 쉬운 이야기
      • 매화는 꽃을 가리키고, 매실은 매실나무의 열매를 의미해요.
      • 매실나무 매화나무 같은말입니다. 국 가표준식물목록의 정식명칭은 '매실나무'
      • 매실이 익으면 그대로 먹기 어렵지만, 장아찌나 술, 식초로 활용하면 건강에도 좋습니다.
    3. 중국과 일본에서의 매실나무의 의미
      • 중국에서는 매실나무가 장수를 상징하며, ‘동양의 국화’라 불립니다.
      • 일본에서는 벚꽃보다 먼저 피는 매실나무를 봄의 전령으로 간주하며 다도(茶道)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함합니다.

🌿 비슷한 나무와 비교

구분 매실나무 (Prunus mume) 벚나무 (Prunus serrulat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잎의 배열 어긋나기 어긋나기 어긋나기
잎의 모양 타원형, 끝이 뾰족함 넓은 타원형, 톱니 있음 둥글고 약간 톱니 모양
줄기 특징 갈색, 세로로 갈라짐 짙은 회갈색, 부드러움 회갈색, 매끄러움
5장의 꽃잎, 흰색~분홍색 5장의 꽃잎, 주로 연분홍색 노란빛 도는 분홍색
열 매 둥근 매실, 신맛 강함 작고 검붉은 열매, 단맛 있음 노란빛의 살구, 달고 부드러움
낙엽 여부 낙엽수 낙엽수 낙엽수
뿌리 특징 깊이 뻗음 깊이 뻗음 깊이 뻗음
원 산 지 중국 중남부 일본, 한국 중앙아시아
성장 속도 보통 빠름 보통

 


📍 매실나무를 볼 수 있는 명소 및 축제

1️⃣ 광양 매화축제

매년 3월 전남 광양에서 열리는 대표적인 매화 축제
축제 기간 : 2025.03.07. (금)
~2025.03.16. (일)

 

2️⃣ 양산 통도사 매화길

통도사 주변에 1,000그루 이상의 매실나무가 식재되어 있음

원동 매화 축제 기간 : 2025.03.01. (토) ~ 2025.03.03. (월)

 

3️⃣ 일본 우메 마쓰리

도쿄, 오사카 등 일본 전역에서 매실나무를 기념하는 축제

우메축제 기간 : 2025.02.08(토) ~ 2025.03.09(일)까지

 

서울 경기는 아직 봉우리만 올라온 상태인거 같아요. 

피기 시작한 곳도 있겠죠. ^^ 

자연에 대한 작은 관심이 세상을 더욱 아름답게 만듭니다.

매실나무가 선사하는 향기로운 봄을 만끽하며, 우리 주변의 나무와 꽃들에게도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