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공부하면서 조금 더 관심 있게 보게 되고 그냥 걷던 거리가 다르게 느껴집니다.
오늘 백련산에서 산골마을 생태연결다리로 건너 가던 중 오동나무 꽃을 처음 보게 되었습니다.
등산이 목적이었다면 그냥 지나쳤을 거예요.
조금 더 자세히 조금 더 천천히 보게 되니 더 재미있는 걸음걸음입니다.
🌸 오동나무, 봄의 선율을 담은 나무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낙엽 활엽수로, 키가 15~20m까지 자라며, 빠른 성장 속도를 자랑합니다.
특히 4월에서 5월 사이, 연보랏빛 깔때기 모양의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피어나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쳤을 꺼예요.^^
🌿 오동나무의 다양한 매력
오동나무는 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실용성에서도 뛰어납니다.
가볍고 튼튼한 목재는 가구 제작이나 공예품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의 재료로도 활용됩니다.
또한, 오동나무의 꽃과 열매는 전통 한방에서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꽃은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어 감기나 기침 치료에, 열매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동나무는 생장이 빠른 속성수로, 심은 지 15~20년이면 가구 제작에 적합한 크기로 자랍니다.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심어 시집갈 무렵에 그 나무를 베어 장롱이나 반닫이 같은 가구를 만들어 혼수로 보냈다고 전해집니다.
분류 단계 | 분류명 (한글) | 분류명 (학명) |
계 (Kingdom) | 식물계 | Plantae |
문 (Phylum) | 피자식물문 | Magnoliophyta |
강 (Class) | 목련강 | Magnoliopsida |
아강 (Subclass) | 국화아강 | Asteridae |
목 (Order) | 현삼목 | Scrophulariales |
과 (Family) | 현삼과 (또는 오동나무과) | Scrophulariaceae* |
속 (Genus) | 오동나무속 | Paulownia |
종 (Species) | 오동나무 | Paulownia coreana |
얘전에 오동나무는 현삼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 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는 별도의 과인 오동나무과(Paulowniaceae)로 분리되었습니다.
🌿 오동나무의 특징
항목 | 내 용 |
형태 |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15~20m, 지름은 최대 80cm까지 자람 |
잎 | 마주나며 달걀형 또는 5각형 길이 15 ~ 23cm, 너비 12 ~ 29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다갈색의 성모가 있음 |
꽃 | 5~6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림. 화관은 길이 약 6cm이고 후부는 황색이며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음 |
열매 | 달걀 모양의 삭과로 10월에 성숙하며, 길이는 약 3cm. 씨앗은 길이 약 1mm로 폭은 0.5mm, 주위로 막질의 날개가 있음 |
분포 및 서식지 | 한국 고유종으로 평안남도, 경기도 이남에 분포하며, 계곡 주변이나 낮은 지대에서 자람. 대부분 식재된 개체들이며 자생지는 명확하지 않음 |
유사종과의 구분 |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와 유사하나, 오동나무는 잎 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꽃부리에 자주색 점선이 없음 |
용도 | 빠른 성장 속도로 목재 생산에 적합하며, 전통 악기나 가구 제작에 활용됨. 예전에는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심어 혼수를 대비하기도 함 |
혹시 길을 가다 나무에 보라색꽃이 나팔꽃 같은 꽃이 주렁주렁 열려있다면 오동나무 꽃일 수 있습니다.
참오동인지 오동나무인지 잎 뒷면과 꽃부리를 자세히 동정해 보겠습니다.
오동나무 관찰
https://withsup.tistory.com/63
오동나무 관찰
오동나무 관찰 중입니다.5월 오동나무에 꽃이 핍니다.잎자루 꽃받침 꽃 잔털 가득합니다. 촬영일 : 2025.05.12 톻꽃 잎이 피면 위만 5쪽으로 벌어짐 아래는 그대로 통꽃오류가 있다면 중간 중간 수
withsup.tistory.com
'나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화살’나무일까? (0) | 2025.05.15 |
---|---|
오동나무 관찰 (0) | 2025.05.13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 소나무 (0) | 2025.05.08 |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생명력 리기다 소나무 (0) | 2025.05.06 |
노란색 겹꽃 황매화? 죽단화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