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비꽃 이름을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다는것 자연 교잡이 많아서 변이가 많다는 걸 알았습니다.
숲을 공부하니 자세히 들여다 보게 되고 자세히 보다 보니 세상에 안보이던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제비꽃의 이름의 유래를 찾아보면
제비의 귀환 시기와 관련된 설: 제비꽃은 제비가 돌아오는 삼짇날 무렵에 피기 때문에 '제비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꽃의 모양과 제비의 유사성: 꽃의 모양이나 색깔이 제비를 닮았다는 이유로 '제비꽃'이라는 이름이 붙였졌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제비꽃의 다른 이름으로는
오랑캐꽃: 꽃의 기부에서 뒤로 길게 나온 부리의 모습이 오랑캐의 머리채와 같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병아리꽃, 앉은뱅이꽃: 식물체가 작고 귀엽다는 데에서 유래된 이름들입니다.
요즘 아파트 단지에에서도 잘 살피다 보면 여러 종류의 제비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알록제비꽃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분류 단계 (계통) | 한글명 | 학명 (영문) |
계 (Kingdom) | 식물계 | Plantae |
문 (Phylum) | 피자식물문 | Magnoliophyta |
강 (Class) | 목련강 | Magnoliopsida |
아강 (Subclass) | 딜레니아아강 | Dilleniidae |
목 (Order) | 제비꽃목 | Violales |
과 (Family) | 제비꽃과 | Violaceae |
속 (Genus) | 제비꽃속 | Viola |
종 (Species) | 알록제비꽃 | Viola variegata |
잎에서 알록이 정말 뚜렷하게 보이시나요
뒷면은 자주색이예요. 반면 잎 앞면에 흰색 알록 부분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이 자주색은 자주알록입니다.
숲에서 보고 아파트 주변에 보니 흰털제비꽃 제비꽃등 조금씩 찾아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국내에는 60여종의 제비꽃이 있으며 자연 교잡이 일어납니다.~
구분 | 특징 내용 |
생육 환경 | 산지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
줄기 | 없음 |
잎 배열 | 여러 장이 모여남 |
잎 형태 | 넓은 타원형, 길이와 폭 2.5~5cm, 가장자리에 톱니 있음 |
잎 끝 | 둔하거나 둥근 형태 |
잎자루 길이 | 2~5cm, 꽃이 진 후에는 15cm 이상으로 자라기도 함 |
잎 앞면 | 얼룩 반점 있음 |
잎 뒷면 | 붉은 보라색 |
개화 시기 | 4~5월 |
꽃 색 | 진한 붉은 보라색 |
꽃받침잎 | 난상 피침형, 길이 3~7mm |
꽃잎 | 길이 0.8~1.3cm, 곁꽃잎에 털이 많음 |
씨방 | 털이 남 |
열매 | 삭과, 난상 타원형 |
분포 | 한국 전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
식별 포인트 | 잎 앞면 얼룩무늬 + 잎 뒷면 붉은 보라색 → 국내 제비꽃속 중에서 구분 가능 |
변종 | 원변종보다 얼룩무늬가 흐리고 꽃 색이 옅은 자주색일 경우 자주알록제비꽃으로 구분됨 |
반응형
'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제천 괴불주머니 (0) | 2025.05.05 |
---|---|
홀로선 꽃대 홀아비꽃대를 아시나요? (0) | 2025.04.29 |
흰진범 (0) | 2025.04.29 |
“딸기의 빨간 부분은 열매가 아니다? 딸기의 생태 이야기” (0) | 2025.03.18 |
눈 속에서도 피는 복수초, 강인한 꽃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