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이야기

“6천만 년 전에 멸종된 나무가 다시 살아났다? 메타세쿼이아의 기적”

by Clover+_+ 2025. 3.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숲해설가입니다.
매타세쿼이어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하려고 합니다. 
“이 나무는 6천만 년 전에 멸종된 줄 알았어요. 그런데 기적처럼 살아있는 모습으로 발견됐죠.”
여러분은 혹시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수천만 년 동안 변하지 않은 채 생존한 생물들에게 붙여지는 특별한 이름입니다.
오늘은 공룡 시대부터 존재했던 나무, 메타세쿼이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이 나무가 한때 멸종된 줄 알았다가 극적으로 되살아난 이유,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게 된 과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공룡 시대의 나무가 살아 있다? 멸종된 줄 알았던 메타세쿼이아의 기적적인 귀환

🌳 사라진 나무가 다시 발견된다면?

메타세쿼이아는 한때 멸종된 줄 알았던 나무입니다.
과거 연구자들은 이 나무가 중생대(약 1억~6천만 년 전)부터 존재했지만, 6천만 년 전에 멸종되었다고 생각했죠.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 놀라운 나무가 살아 있는 모습으로 발견되면서 학계는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사라진 나무가 다시 돌아온 기적 같은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 1941년, 메타세쿼이아의 극적인 발견

🌱 중국 후베이성의 한 마을
1941년, 중국 후베이성 리수이(利川) 지역의 한 마을에서
주민들은 오래된 신목(神木, 신성한 나무)을 마을의 수호신처럼 여기고 있었습니다.
이 나무는 가을이 되면 붉게 물들고, 겨울이 되면 잎이 모두 떨어지는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었죠.
 
🌱 중국 식물학자 츠우 완(王戰)의 발견
마침 중국의 식물학자 츠우 완(Wang Zhan, 王戰) 박사는 이 나무를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지금껏 본 적 없는 침엽수라고 생각했지만, 당시 중국은 중일전쟁(1937~1945) 중이었기 때문에 본격적인 연구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미뤄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 전 세계 학계가 술렁이다
1946년, 전쟁이 끝난 후 츠우 완 박사와 여러 학자들이 다시 연구를 진행했고, 결국 이 나무가 과거 화석에서만 발견되던 메타세쿼이아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즉, 6천만 년 전에 멸종된 줄 알았던 나무가 살아 있었던 것!
이 소식이 전해지자 전 세계 식물학계가 흥분에 휩싸였고, 1947년에는 메타세쿼이아의 씨앗과 묘목이 미국, 영국, 일본 등 여러 나라로 보내져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 전 세계로 퍼진 메타세쿼이아

그 후 메타세쿼이아는 여러 나라에서 번식하며 현재는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무가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심기 시작했고, 지금은 담양 메타세쿼이아길, 남이섬, 제주 비자림로 등에서 그 장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담양 메타세쿼이아길은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메타세쿼이아 숲길로, 일렬로 뻗은 나무들이 마치 유럽의 숲을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합니다.

🌲 왜 메타세쿼이아는 ‘살아있는 화석’일까?

메타세쿼이아는 오랜 세월 동안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생존한 나무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Living Fossil)’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살아있는 화석들은 멸종 위기 생물 보존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20세기 중반 발견 이후, 메타세쿼이아는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식물이 되었으며 현재도 자연 생태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잊힌 자연의 신비를 발견하는 순간

우리가 자연을 바라볼 때, 그냥 지나치는 작은 나무 한 그루가 6천만 년 전부터 이어진 위대한 생명의 역사일 수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걸어가는 숲길 속에도 공룡 시대를 지나온 나무가 자라고 있다면, 그 자체로 너무 신비롭지 않나요?
 
다음에 숲을 걸을 때, 메타세쿼이아를 발견하면 잠시 멈춰 서서 이 나무가 겪어온 시간과 이야기를 떠올려 보세요.
자연을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세상은 더욱 흥미로워질 테니까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