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풀이야기

작고 환한 보석 같은 풀, 금전초(긴병꽃풀) 이야기

by Clover+_+ 2025. 5. 13.
728x90
반응형

금전초 행운을 부르는 우리의 기원 의미를 담기

 

오늘 학교 수업이 있어서 아이들 등교 시간 피해 차를 가지고 일찍 출근하느라 수업시간 보다 여유 있게 도착했습니다.

시간이 남아서 학교 숲을 보며 관찰 중이었는데.. 눈길을 붙잡는 풀이 있었습니다.

 

생소해서 구글 렌즈를 통해 동정해 봅니다. 도감이 있기도 하지만 렌즈가 빨라요.

하지만 비슷한 이미지에서 정확한 이름을 찾으려면 잎과 풀의 생김새를 더 자세히 보아야 정확한 이름을 동정할 수 있어요..

 

이게 요즘 저의 공부법입니다. 궁금해하고 찾아보고 자세히 공부하고. 학창 시절에 이렇게 했어야 하는데.. ^ _ <

 

오늘 동정한 식물 중 하나인 금전초, 정식 이름으로는  긴병꽃풀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금전초

🌱 긴병꽃풀(금전초) 분류체걔

분류 단계 분류명 (한글) 분류명 (학명)
계 (Kingdom) 식물계 Plantae
문 (Phylum) 피자식물문 Magnoliophyta
강 (Class) 목련강 Magnoliopsida
아강 (Subclass) 국화아강 Asteridae
목 (Order) 꿀풀목 Lamiales
과 (Family) 꿀풀과 Lamiaceae
속 (Genus) 긴병꽃풀속 Glechoma
종 (Species) 긴병꽃풀 Glechoma grandis

 

‘금전초(金錢草)’라는 이름은 얼핏 들으면 재물을 부르는 행운의 풀 같지만, 그 속에는 식물의 모습과 사람들의 바람이 섞여 있습니다.

동그랗게 퍼지는 잎이 마치 동전처럼 생겨서 그렇게 불렀습니다.

나무 중엔 금전수라는 나무도 있지요.  

Zamioculcas zamiifolia 자미오쿨카스라는 나무로 천남성과에 속하는 나무입니다. 천남성과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요.

우리나라  돈나무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장미아강의 돈나무라는 나무가 있습니다.

돈나무는 조만간 정리해서 올려볼께요.

 

어떤 것이던 우리가 의미를 부여하면 가치가 생기고 소중히 여기다 보면 나에겐 특별한 존재가 됩니다. 

 

다시돌아와서 긴병꽃풀은 집 근처에 두면 복이 들어온다거나, 몸에 좋은 약초로 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식물학적으로는 긴병꽃풀이라는 이름이 공식 명칭입니다.

 

‘병’은 항아리를 뜻하고, 그 항아리처럼 길게 생긴 꽃받침 모양에서 유래했습니다.

수줍은 보라색꽃들이 봄에 많이 보이네요. 오동나무꽃도 보라색~

🌿 긴병꽃풀 (Glechoma grandis) 특징

생육상태 여러해살이풀 (다년생 초본)
서식 환경 고도가 낮은 산지, 숲 가장자리, 길가의 풀밭 등
줄기 특징 높이 5~25cm, 처음엔 곧추 서고 꽃이 진 후 쓰러져 길게 뻗음
줄기는 모가 지며, 옆으로 퍼진 털이 있음
잎의 특징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음
개화 시기 4~5월, 연한 자색 꽃이 핌
열매 분과(分果), 6월에 익음
분포 지역 한국(전라남도, 경상남도, 경기도), 일본, 만주, 시베리아 등
유사종과 구별법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림
꽃부리 위쪽 열편이 투구 모양이 아님
→ 꽃부리 위쪽 열편이 투구 모양이며, 줄기 끝에 꽃차례가 발달하는 벌깨풀과 구별됨
이용 전초를 약용으로 사용
방향제, 비누, 향초 등 향료로 활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