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은방울꽃의 분류단계
분류 단계 | 학명 (라틴어) | 국문명 |
계(Kingdom) | Plantae | 식물계 |
문(Phylum) | Magnoliophyta | 피자식물문 |
강(Class) | Liliopsida | 백합강 |
아강(Subclass) | Liliidae | 백합아강 |
목(Order) | Liliales | 백합목 |
과(Family) | Liliaceae | 백합과 |
속(Genus) | Convallaria | 은방울꽃속 |
종(Species) | Convallaria keiskei | 은방울꽃 |
은방울꽃은 그 이름처럼 작은 종 모양의 하얀 꽃이 방울처럼 달려 있어, 마치 바람이 스치면 맑은 종소리가 들릴 것 같은 인상을 줍니다.
꽃은 주로 4~5월에 피며, 짙은 녹색의 넓은 잎 사이로 1줄기에서 여러 개의 흰색 꽃이 아래를 향해 피어납니다.
잎 아래쪽으로 꽃이 피어 자세히 보지 않으면 꽃을 보지 못합니다.
잎은 둥굴래와 비슷합니다.
은방울꽃은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이지만, 전초(전체 식물)에 독성이 있습니다.
심장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있어 절대 식용으로 삼으면 안 되며, 어린이와 반려동물이 있는 환경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독성이 있는 열매는 먹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은방울꽃의 특성
구 분 | 내 용 |
생육 환경 | 숲속 또는 양지바른 초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
뿌리 | 옆으로 뻗는 땅속줄기(지하경), 수염뿌리가 많음 |
잎 | 2~3장,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길이 12~18cm, 폭 3~7cm |
끝이 뾰족하고, 앞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흰빛 도는 녹색 | |
꽃 피는 시기 | 4~5월 |
꽃 구조 | 꽃줄기 높이 25~35cm |
10여 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림 | |
꽃 지름 약 5mm, 흰색 | |
꽃부리는 넓은 종 모양, 끝이 6갈래로 갈라지며 약간 뒤로 말림 | |
꽃줄기·꽃자루 | 꽃줄기는 약간 구부러짐 |
꽃자루 길이 6~12mm | |
꽃싸개잎은 선형 | |
수술 | 6개, 꽃부리 밑부분에 붙음 |
열매 | 장과, 둥글고 지름 약 6mm |
5~6월에 붉게 익음 | |
분포 지역 | 우리나라(제주도 제외 전역), 중국, 일본, 몽골, 미얀마, 러시아, 유럽, 북미 등 |
특징 | 총상꽃차례, 넓은 종 모양의 꽃, 땅을 향해 피는 점이 특징 |
기타 이름 | 비비추, 초롱꽃, 영란 |
용도 | 관상용, 전초는 약용 (※ 독성 있음) |
728x90
'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지나치기엔 아까운 여름 들꽃 큰금계국 (0) | 2025.06.02 |
---|---|
무궁화인가 다가간 꽃의 이름 (0) | 2025.06.01 |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ohioensis Raf. (0) | 2025.05.22 |
클로바로 착각되는 괭이밥을 소개합니다. (1) | 2025.05.14 |
작고 환한 보석 같은 풀, 금전초(긴병꽃풀) 이야기 (0) | 2025.05.13 |